LM to LLM 학습 가이드

LM to LLM 학습 가이드

🤖 LM to LLM: 언어모델의 진화 여정

📚 개요

언어모델(Language Model)에서 대형언어모델(Large Language Model)로의 발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학습하는 가이드입니다. 기초 개념부터 최신 기술까지 단계별로 정리하여 언어모델의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.


🔹 1. 언어모델의 기초 이해

📌 언어모델(Language Model)이란?

언어모델은 주어진 단어 시퀀스에 대해 다음 단어가 나타날 확률을 예측하는 통계적 모델입니다.

핵심 개념:

  • 확률 분포: P(word_n word_1, word_2, …, word_n-1)
  • 문맥 이해: 이전 단어들을 바탕으로 다음 단어 예측
  • 언어 생성: 확률 기반으로 자연스러운 텍스트 생성

📌 전통적인 언어모델의 한계

  1. N-gram 모델의 한계
    • 고정된 길이의 문맥만 고려
    • 희소성 문제(Sparsity Problem)
    • 장거리 의존성 처리 어려움
  2. RNN 기반 모델의 한계
    • 기울기 소실/폭발 문제
    • 순차적 처리로 인한 병렬화 제한
    • 장기 의존성 학습 어려움

🔹 2. Transformer와 언어모델의 혁신

📌 Attention is All You Need (2017)

Transformer 아키텍처의 핵심:

  • Self-Attention 메커니즘
  • 병렬 처리 가능
  • 위치 인코딩(Positional Encoding)
  • Multi-Head Attention

📌 BERT vs GPT: 두 가지 패러다임

특성 BERT GPT
구조 Encoder-Only Decoder-Only
학습 방식 Masked Language Model Autoregressive
강점 문맥 이해, 분류 텍스트 생성
대표 태스크 질의응답, 감성분석 문서 생성, 대화

🔹 3. 대형언어모델(LLM)의 등장

📌 스케일링의 힘

매개변수 증가 추이:

  • GPT-1 (2018): 117M 매개변수
  • GPT-2 (2019): 1.5B 매개변수
  • GPT-3 (2020): 175B 매개변수
  • GPT-4 (2023): 1.76T 매개변수 (추정)

📌 창발적 능력(Emergent Abilities)

모델 크기가 임계점을 넘으면서 나타나는 새로운 능력들:

  • In-Context Learning: 몇 개의 예시만으로 새 태스크 수행
  • Chain-of-Thought: 단계별 추론 능력
  • Code Generation: 프로그래밍 코드 생성
  • Multilingual Understanding: 다국어 이해 및 번역

🔹 4. LLM의 핵심 기술들

📌 사전 훈련(Pre-training)

1.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

1
2
3
4
5
# 예시: 대용량 텍스트 데이터 전처리
def preprocess_text(text):
    # 토큰화, 정제, 필터링
    tokens = tokenizer.encode(text)
    return tokens

2. 자기지도학습(Self-Supervised Learning)

  • 다음 토큰 예측 (Next Token Prediction)
  • 대용량 텍스트 코퍼스 활용
  • 라벨링 없이 언어 패턴 학습

📌 파인튜닝(Fine-tuning)

1. 지도 파인튜닝(Supervised Fine-tuning)

1
2
3
4
5
6
7
8
# 예시: 특정 태스크용 파인튜닝
model = AutoModelForCausalLM.from_pretrained("gpt-3.5-turbo")
trainer = Trainer(
    model=model,
    train_dataset=task_specific_dataset,
    training_args=training_args
)
trainer.train()

2. 인간 피드백 강화학습(RLHF)

  • 인간 선호도 데이터 수집
  • 보상 모델 훈련
  • PPO 알고리즘으로 정책 최적화

🔹 5. 주요 LLM 모델 비교

📌 OpenAI GPT 시리즈

  • GPT-3.5: ChatGPT의 기반 모델
  • GPT-4: 멀티모달 능력 추가
  • 특징: 높은 품질의 텍스트 생성, API 제공

📌 Google PaLM/Gemini

  • PaLM: 540B 매개변수
  • Gemini: 멀티모달 통합 모델
  • 특징: 수학, 과학 추론 강화

📌 Meta LLaMA

  • LLaMA 2: 오픈소스 모델
  • Code Llama: 코드 생성 특화
  • 특징: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높은 성능

📌 국내 LLM

  • SOLAR: 업스테이지에서 개발
  • HyperCLOVA X: 네이버 클로바
  • 특징: 한국어 특화, 로컬 데이터 반영

🔹 6. LLM 활용 실습

📌 Hugging Face 라이브러리 활용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from transformers import AutoTokenizer, AutoModelForCausalLM
import torch

# 모델 로드
model_name = "microsoft/DialoGPT-medium"
tokenizer = AutoTokenizer.from_pretrained(model_name)
model = AutoModelForCausalLM.from_pretrained(model_name)

# 텍스트 생성
def generate_response(input_text, max_length=100):
    # 입력 토큰화
    inputs = tokenizer.encode(input_text, return_tensors="pt")
    
    # 생성
    with torch.no_grad():
        outputs = model.generate(
            inputs,
            max_length=max_length,
            temperature=0.7,
            pad_token_id=tokenizer.eos_token_id,
            do_sample=True
        )
    
    # 디코딩
    response = tokenizer.decode(outputs[0], skip_special_tokens=True)
    return response

# 사용 예시
user_input = "안녕하세요, AI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어요."
response = generate_response(user_input)
print(f"AI: {response}")

📌 프롬프트 엔지니어링

효과적인 프롬프트 작성법:

  1. 명확한 지시사항 제공
  2. 예시 포함 (Few-shot Learning)
  3. 단계별 추론 유도 (Chain-of-Thought)
  4. 역할 설정 (Role Playing)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# 예시: 코딩 도우미 프롬프트
prompt = """
당신은 Python 프로그래밍 전문가입니다.
다음 요구사항에 맞는 코드를 작성해주세요:

요구사항: 리스트의 모든 짝수를 찾아서 제곱한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

예시:
입력: [1, 2, 3, 4, 5, 6]
출력: [4, 16, 36]

코드:
"""

🔹 7. LLM의 한계와 도전과제

📌 기술적 한계

  1. 환각(Hallucination)
    • 사실이 아닌 정보 생성
    • 완화 방법: RAG, 사실 검증 시스템
  2. 편향성(Bias)
    • 훈련 데이터의 편향 반영
    • 완화 방법: 다양성 있는 데이터, 편향 탐지
  3. 해석 가능성 부족
    • 블랙박스 모델의 한계
    • 연구 방향: Attention 시각화, 프로빙

📌 윤리적 고려사항

  • 저작권 문제: 훈련 데이터 사용 권한
  • 오남용 방지: 악의적 목적 사용 제한
  • 개인정보 보호: 민감 정보 노출 방지

🔹 8. 미래 전망과 발전 방향

📌 기술적 발전 방향

  1. 효율성 개선
    • 모델 압축 기술
    • 양자화, 프루닝
    • 경량화 아키텍처
  2. 멀티모달 통합
    • 텍스트 + 이미지 + 오디오
    • 통합 표현 학습
    • 크로스모달 추론
  3. 추론 능력 강화
    • 논리적 추론
    • 수학적 계산
    • 과학적 발견

📌 응용 분야 확장

  • 코딩 어시스턴트: GitHub Copilot, CodeT5
  • 창작 도구: 소설, 시나리오, 음악 생성
  • 교육 플랫폼: 개인화된 학습 지원
  • 의료 진단: 의료 문서 분석, 진단 보조

🔹 9. 실무 적용 가이드

📌 LLM 선택 기준

고려사항 평가 요소
성능 벤치마크 점수, 태스크별 정확도
비용 API 요금, 인프라 비용
속도 응답 시간, 처리량
커스터마이징 파인튜닝 가능성, 도메인 적응
보안 데이터 프라이버시, 온프레미스 배포

📌 구현 단계별 가이드

1단계: 요구사항 분석

  • 태스크 정의
  • 성능 목표 설정
  • 제약사항 파악

2단계: 모델 선택 및 검증

  • 후보 모델 비교
  • PoC(Proof of Concept) 수행
  • 성능 벤치마킹

3단계: 최적화 및 배포

  • 파인튜닝
  • 모델 최적화
  • 프로덕션 배포

🔹 10. 학습 자료 및 참고 문헌

📚 추천 도서

  • “Attention Is All You Need” (Vaswani et al., 2017)
  • “Language Models are Few-Shot Learners” (Brown et al., 2020)
  • “Training language models to follow instructions with human feedback” (Ouyang et al., 2022)

🌐 온라인 자료

🛠️ 실습 환경

1
2
3
4
5
6
7
# 필수 라이브러리 설치
pip install transformers torch datasets accelerate
pip install openai anthropic  # API 사용시

# Jupyter 환경 설정
pip install jupyter ipywidgets
jupyter notebook

🎯 마무리

LM에서 LLM으로의 발전은 단순한 모델 크기 증가가 아닌, 언어 이해의 패러다임 변화를 의미합니다. 이 가이드를 통해 언어모델의 진화 과정을 이해하고,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를 다지시길 바랍니다.

다음 학습 목표:

  • Transformer 아키텍처 상세 분석
  • 실제 LLM 파인튜닝 프로젝트 수행
  • RAG(Retrieval-Augmented Generation) 시스템 구축
  • LLM 기반 애플리케이션 개발

이 내용은 AI 부트캠프 과정에서 다루는 언어모델 관련 강의를 종합하여 정리한 것입니다.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.